협성대학교 로고

  • 신문사소개
  • 메인기사
  • 교내기사
  • 사회기사
  • 이전기사
  • 카드뉴스
  • 문의
  • 제보
  • 로그인
  • 신문사소개chevron_right
  • 교내기사chevron_right

  • 사회기사chevron_right
  • 이전기사chevron_right
  • 카드뉴스chevron_right
  • 문의chevron_right
  • 제보chevron_right
  • 로그인chevron_right

교내기사

  • 전체
  • 협성소식
  • 경영대
  • 인문사회대
  • 열린 분류 이공대
  • 예술대
  • 웨슬리대
  • 졸업생
  • 동아리
  • 축제
  • 행사
  • 기관
  • 복지
  • 2
    전문인재 양성의 시작점, 의·생명과학과 실험실
    ▲ 의·생명과학과 실험실   2017년, 생명존중 웨슬리안 정신에 바탕을 둔 생명과학과 (현 의·생명과학과)가 생겼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바이오-의약산업을 이끌어갈 창의적이고 융합적 사고 능력을 가진 글로벌 전문연구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원래 명칭이던 생명과학과에서 의·생명과학과로 변경하게 된 계기는 생명과학과 화학, 두 가지 학문 분야를 유기적으로 융합하여 산업적 요구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폭넓은 연구가 가능해졌다. 의·생명과학과에는 다양한 실험실이 있다. 김종현 교수가 운영하는 줄기세포 연구실에서는 난치성 유전질환을 중심으로 환자 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활용한 연구를 하고 있다. 한지유 교수가 운영하는 줄기세포 연구 및 생명공학 연구실에서는 인간 만능 줄기세포 유래 다양한 ‘organoid’ 모델을 개발해 동물실험 대체시험법을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배양육(cultured meat)’ 개발을 통해 가축과 수산 생물들의 줄기세포, 섬유아세포들을 분리 배양하여 국내외 다양한 기업과 진행하고 있다. 또한, 경찰청과 산자부의 지원을 받아서 범죄 현장 인간 유전물질 검출과 유해 기체 분석을 통한 법과학 수사법을 연구하고 있다. 정효성 교수가 운영하는 첨단유기바이오소재 연구실에서는 유기화학 합성 기술을 바탕으로 신약 개발, 코스메틱, 질병 진단, 법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신규 소재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학우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연구 경험을 쌓고 국제 학술대회 발표, 저널 논문 게재,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 국가 연구기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등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실험실은 이론으로 배운 내용을 실제 연구에 바로 적용해 볼 수 있고 연구를 통해 문제 해결력과 창의적 사고를 키울 수 있다. 모집하는 시기는 실험실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학기 초에 진행한다. 의·생명과학과 학과장 김종현은 “실험은 꾸준한 노력이 필요한 과정이다.”라며 “성실함과 책임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라고 전했다. 특히, 실험실 활동은 졸업 후 대학원 진학이나 바이오, 법과학, 화학 관련 연구소 취업을 희망하는 학우에게 추천한다고 덧붙였다. 실험실 외에 실험 실습과목으로는 줄기세포생물학 및 연구 기법, 동물세포배양, 유기화학실험, 학부연구생프로젝트, 전공심화연구, 생명화학연구 등이 있다. 실험실 학부생이 되는 것을 고민한다면 먼저 과목을 들어보며 참여해 볼 수 있다. 또한, 의·생명과학과 교수님과의 상담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실험은 많은 경험과 노력을 통해 나오는 결과이다. 고진감래 말이 있듯이 많은 성공과 실패의 경험들이 모여 불치병 치료나 세상에 이로운 결과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실험실 경험을 통해 좋은 연구자로 성장하길 바란다.
    정희진 기자 2025-06-25
  • 1
    0과 1이 만들어낸, 이공대학 졸업전시회
      ▲ 출처: 픽사베이   2024년 5월23일 우리대학 이공관 1층에서 컴퓨터 공학과와 소프트웨어 공학과가 함께 참여한 졸업 작품 전시회가 진행되었다. 이번 졸업 작품 전시회에 8조로 참가한 우리대학 컴퓨터 공학과 재학생 A 학우는 게임 엔진 기술과 통합개발을 통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좋은 알고리즘 학습 게임을 졸업 작품 전시회에 출품했다. 주제 선정 과정에서 처음 코딩을 배울 때 어려움을 겪었던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작업을 시작했다. 외국 기업의 게임 회사들을 모티브로 제작했으며 일반적인 게임보다 교육적인 목적을 염두에 두고 작품을 제작했다. 사용자들이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배울 수 있도록 기획했다. 이 게임을 통한 기대효과로는 문제 이해력의 향상, 문제 해결 능력 강화와 창의성 촉진 등이 있다. A 학우의 작품은 블록을 활용해 직관적인 코드 작성을 할 수 있으며, 커스텀 맵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직접 제작한 게임을 통해 코드의 흐름을 시각화했다. 또한 애니메이션을 통해 코드의 흐름 파악할 수 있도록 제작했다. 컴퓨터 공학은 다른 이름인 컴퓨터 과학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A 학우는 소프트웨어의 분야를 개발하며 이를 ‘퍼즐’이라고 칭했다.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국가적 요소가 많다는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서버와 요소들을 하나씩 고려할 때는 작은 조각이지만 하나로 모이면 하나의 작품이 된다는 의견을 전했다. 이번 졸업전시회에 사용한 블록 코딩은 블록을 조립하여 코딩을 만드는 방식으로, 각각의 명령어가 담긴 블록을 명령 순서에 맞게 조립하여 명령을 실행하는 것이다. 우리대학의 컴퓨터공학과는 창의적 사고력과 기술력, 응용력을 길러 AI의 시대에 활약할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이론적으로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과 원리에 대한 이해에서부터 시작한다. 정보관리시스템의 개발 및 운영, 지능 정보 시스템의 원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작, 정보통신 기술의 응용 등 최신 이론과 기술의 핵심적인 기반 기술인 정보산업 관련 기술 전반을 공부한다. 소프트웨어 공학과에서는 소프트웨어공학 기술에 기초한 분석, 설계, 검증의 전문가를 양성한다. 모바일, 자동차, 로봇 등을 제어하거나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다양한 하드웨어와 통신시스템을 통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소프트웨어 기초 능력을 함양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며 웹 개발자, 인공지능 개발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등의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관련 자격증으로는 한국 산업 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정보처리 기사 1급과 정보처리 산업 기사가 있다. 4학년 1학기 필수 수강 과목인 창의 공학 소프트웨어설계는 졸업 작품을 위한 연계 과목이다. 팀을 구성해 졸업 발표 주제를 정하고 졸업 작품 전시회에 참가한다. 이를 토대로 논문을 작성하여 제출한다. 졸업전시회는 4년 동안 학우들이 수업 과정을 토대로 탐구하여 준비한 결과물이다. 전공과목과 다양한 교내 활동을 통해 졸업 전시회를 통해 전하고자 하는 의미가 각기 다를 것이다. 이번 졸업전시회에 블록 코딩을 토대로 창의적인 작품을 선보였던 것처럼 학우들의 앞으로의 미래가 무궁무진하길 바란다.
    최수현 기자 2025-03-18

협성대학교 신문사

  • 화성시 봉담읍 최루백로 72
  • 전화031-299-0680
    인스타그램 @hsu_news
  • 이메일 38_press@daum.net

ⓒ협성대학교 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nsta button 개인정보처리방침
  • 공유
  • 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