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박스쿨', 교육 현장의 중립성 훼손 우려

등록 : 2025-06-14

권민선 기자
공유
프린트
목록이동

5c116-684d64a8cdbeb-66486f16c4dfb7b25d3a97874314ac7239b5b838.jpg

▲ 출처: 중앙일보

 

최근 민간 교육단체인 '리박스쿨(ReePark School)'이 초등학교 방과후 수업인 '늘봄학교'에 진입한 사실이 알려지며 교육계 안팎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리박스쿨의 활동 내용과 이승만, 박정희 전 대통령과의 연관성이 제기되면서, 이 단체의 성격과 교육 현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리박스쿨과 연관된 '한국늘봄교육연합회' 소속 강사 11명이 서울교육대학을 통해 초등학교 늘봄학교에 출강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강사들은 지난 3월부터 4월까지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강의했으며, 900만 원의 강사료를 받았다. 한국늘봄교육연합회는 지난 2월 서울교대와 업무협약을 맺고 서울 지역 10개 학교에 '두근두근 신나는 실험과학', '오감으로 느끼는 그림책' 등의 프로그램을 공급했다.

문제는 리박스쿨이 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넘어, 특정 역사관을 초등학생들에게 가르치려 했다는 정황이 포착되었다는 점이다. 리박스쿨의 손효숙 대표는 20228월 세미나에서 "젊고 매력적인 교사를 발굴하여 청년들을 정기적으로 선발해 이승만·박정희 전문가로 육성한다"라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특정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초등학생 시기는 가치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로, 이념적 편향성을 가진 교육은 학생들의 건전한 성장을 저해하고 비판적 사고 능력을 왜곡시킬 수 있다. 교육은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사고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본질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시도는 교육의 중립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이다.

이러한 논란이 확산하자 서울교대는 언론을 통해 즉시 해당 업체에 강력히 항의하고 협약을 취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교육 현장에 불필요한 정치적 논란이 더 이상 확산하는 것을 막는 조치로 보인다. 또한 교육부는 늘봄학교 운영에 있어 외부 단체 선정 및 프로그램 내용 검증에 대한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학부모와 교육계 전문가들은 학교가 특정 단체의 이념 전파 통로로 이용되는 것을 경계하며, 프로그램 선정 과정의 투명성 확보를 촉구하고 있다.

한편, 리박스쿨은 21대 대선 댓글 조작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가 리박스쿨 사무실을 압수수색 하는 등 강제 수사에 착수하면서, 리박스쿨의 활동 전반에 대한 추가적인 의혹들이 제기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수사 결과에 따라 리박스쿨의 교육 현장 진입 시도에 대한 사회적 평가는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리박스쿨 사례는 특정 이념을 지닌 민간단체가 '교육'이라는 명목하에 학교 현장에 진입하려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여준다. 순수해야 할 교육 현장이 특정 이념을 주입하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으며, 이는 교육의 중립성과 다양성을 지켜야 하는 중요한 과제를 던지고 있다. 교육 당국은 이와 같은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 감독 시스템을 구축하고, 민간 교육단체와의 협력 시 투명하고 신중한 검증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다양한 소식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profile_image